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목록윈도우 (20)
All Things IT
윈도우 10(Windows 10)에서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하면 "d3dx9_42.dll 파일을 찾을 수 없다"거나 "d3dx9_42.dll이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며 프로그램이 갑자기 종료될 때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컴퓨터에 d3dx9_42 dll이(가)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십시오."라는 메시지가 나오기도 하는데요. 이 문제는 윈도우(Windows)의 게임이나 그래픽 관련 프로그램 다수에서 사용하는 다이렉트X(DirectX)의 일부 시스템 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다행히 윈도우 10(Windows 10)의 'd3dx9_42.dll 없음' 오류는 생각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d3dx9_42..
그래픽 카드 메모리(VRAM)와 그래픽 카드는 의심할 여지 없이 컴퓨터의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컴퓨터 부품 중 하나입니다. 출시한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최신 게임을 플레이하지 못하거나 그래픽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특히, 그래픽 카드 메모리(VRAM)가 부족하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고 프레임률(FPS)이 떨어지는데다 게임 플레이에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용량(VRAM)이 새 그래픽 카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대개 비용이 부담스럽죠. 이 때문에 다른 방법이 없나 살펴보고 계셨다면, 이 글의 내용에 주목해 주세요! 아래 방법을 사용하여 윈도우 10(Windows 10)에서 그래픽 카드의 전..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설치된 윈도우(Windows)의 홈(Home) / 프로(Pro) 여부, 윈도우 버전, 메모리(RAM) 용량, CPU 종류, 메인 보드 이름등 시스템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하드웨어나 드라이버 정보, 도메인 세부 정보, 컴퓨터 이름과 같은 정보는 프로그램이나 게임 설치, 혹은 업무 진행에 필요한 정보 중 하나죠.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10(Windows 10)이 32비트 버전인지 혹은 64비트 버전의 윈도우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요. 지금부터 윈도우 10에서 시스템 정보와 더불어 사용 중인 윈도우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방법 1: '시작 메뉴 검색' 활용❶ 시작 버튼을 클릭한 다음 시스템 정보라고 입력합니다. ❷..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열었더니 "컴퓨터에 d3dcompiler_43.dll이(가)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십시오."라는 오류 메시지만 나오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나요? 많이 당황스러웠을 텐데요. 사실, 생각보다는 흔히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보통 윈도우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DLL 파일을 찾지 못했을 때 나오는 오류이고요. .DLL 파일이 손상되었을 때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d3dcompiler_43.dll 파일은 '다이렉트 X(DirectX)'의 구성 파일 중 하나인데요. 게임이나 그래픽 관련 프로그램이 사용할 '3D 그래픽 표시 기능(코드)'을 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DLL 파일이 없으면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가 없고요. ..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했는데 "컴퓨터에 MSVCR110.dll이(가)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십시오."라는 오류가 나오며 실행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오류 메시지가 나오면 상당히 당황스러운데요. 프로그램에 따라 조금씩 다른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고요. 오류 메시지에서 말한 MSVCR110.dll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각종 기능(코드)을 담고 파일인데요. 개발자가 '비주얼 스튜디오 2011, 2012(Visual Studio 2011, 2012)'라는 개발 소프트웨어로 만든 프로그램은 이 .DLL 파일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MSVCR110.dll을 다운 받아 시스템 폴더에 넣으면 문제 해결 완료! 인데요..
윈도우 10(Windows 10)은 주기적으로 기능, 보안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컴퓨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데요. 새 윈도우 업데이트(Windows Update)를 확인하던 중 설정 창 화면에 '업데이트 오류 코드 0x80240fff'라는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과정에서 이 오류 코드가 나왔다면? 아래 내용대로 진행하시면 비교적 쉽게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방법을 하나씩 확인해보겠습니다! 방법1. 업데이트 도우미로 해결업데이트 길잡이로 컴퓨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❶ 이 링크를 클릭하여 웹 사이트를 엽니다. ❷ 사이트 화면에서 "지금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한 다음 '업데이트 도우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하세요. ❸ 다운로..
유료 프로그램은 보통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정품 인증을 진행합니다. 제품 키, 시디 키(CD-Key)를 입력하게 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구입할 때 사용한 온라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도록 합니다. 두 방법 모두 고유한 장점이 있습니다. 온라인 계정을 통한 인증은 구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과 암호만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두 가지 중 하나만 잊어버린 경우라면 재설정이나 복원이 쉽습니다. 제품 키, 시디 키를 통한 인증은 프로그램을 정품 인증하고 사용하기 위해 꼭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는 편리합니다. 단, 이 방법으로 정품 인증했다면 제품 라이센스 키, 시디 키를 따로 메모해 두고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겠죠.잊어버린 제품 키 찾기,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 10(Wi..
하드 디스크 용량 자체가 작거나 32GB 용량의 하드 디스크를 장착한 노트북을 구입하셨다면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 문제'로 불편한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10GB ~ 15GB 크기를 훌쩍 넘기는 WinSxS 폴더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이 때문에 WinSxS 폴더 자체나 혹은 폴더 내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려고 시도해보신 경험이 한 번쯤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Delete 키를 눌러도 WinSxS 폴더는 바로 삭제할 수가 없는데요. 윈도우(Windows)를 업데이트하면 시스템이 관련 파일을 C:\Windows\WinSxS 폴더에 다운로드하고 저장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 윈도우를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업데이트 관련 특정 파일을 일정 기..
윈도우(Windows 10)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스크린샷을 캡쳐할 수 있습니다. 'Ctrl + PrtScrn(프린트 스크린)'이나 'Fn + PrtScrn' 키를 누르면 즉시 스크린샷을 찍을 수 있습니다. 마우스 오른쪽 클릭 메뉴나 화면 일부분을 캡처할 수 있는 '캡처 도구' 프로그램에도 윈도우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스크린샷 캡쳐 자체는 쉽지만, 이렇게 하면 화면에 보이는 내용만 캡처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웹 페이지나 문서 등에서 화면 밖의 나머지 부분을 캡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방법을 생각해봐도 쉽게 떠오르지는 않는데요. 사실, 윈도우의 자체 기능만으로는 스크롤 캡처가 어렵고,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만 스크롤 캡쳐를 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쉽고 빠르게 스크롤 캡쳐를 할 수..
생명체든 컴퓨터 프로그램이든 모든 존재에는 언젠가 끝이 있기 마련이고, 이는 윈도우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지원 종료 기간'을 두고 지원 종료일 이후에는 운영 체제에 대한 업데이트를 의도적으로 제한합니다. 윈도우 8.1(Windows 8.1)의 지원 종료 기간이 곳곳에서 눈에 띄기 시작한 지금, 계속해서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사용해도 괜찮다면, 지속해서 사용하는 게 좋은 선택일까요? 윈도우 8.1의 지원 종료일이 언제인지와 더불어 해당 날짜 이후에도 계속해서 사용해도 괜찮을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윈도우 8과 8.1의 지원 종료일은? 윈도우 8은 2016년 1월 13일에 모든 지원이 종료되었고, 윈도우 8.1은 지난 2018년 7월 10일 부로 '일반 지원'이 종..